top of page
WUMC_Logo_W-1_091121 copy.png

새벽에 주시는 이슬같은 은혜

새벽예배 2022.08.19 | 창세기 10장 1-32절 | 구진모 목사



창세기 10장 1-32절


  1. 노아의 아들 셈과 함과 야벳의 족보는 이러하니라 홍수 후에 그들이 아들들을 낳았으니

  2. 야벳의 아들은 고멜과 마곡과 마대와 야완과 두발과 메섹과 디라스요

  3. 고멜의 아들은 아스그나스와 리밧과 도갈마요

  4. 야완의 아들은 엘리사와 달시스와 깃딤과 도다님이라

  5. 이들로부터 여러 나라 백성으로 나뉘어서 각기 언어와 종족과 나라대로 바닷가의 땅에 머물렀더라

  6. 함의 아들은 구스와 미스라임과 붓과 가나안이요

  7. 구스의 아들은 스바와 하윌라와 삽다와 라아마와 삽드가요 라아마의 아들은 스바와 드단이며

  8. 구스가 또 니므롯을 낳았으니 그는 세상에 첫 용사라

  9. 그가 여호와 앞에서 용감한 사냥꾼이 되었으므로 속담에 이르기를 아무는 여호와 앞에 니므롯 같이 용감한 사냥꾼이로다 하더라

  10. 그의 나라는 시날 땅의 바벨과 에렉과 악갓과 갈레에서 시작되었으며

  11. 그가 그 땅에서 앗수르로 나아가 니느웨와 르호보딜과 갈라와

  12. 및 니느웨와 갈라 사이의 레센을 건설하였으니 이는 큰 성읍이라

  13. 미스라임은 루딤과 아나밈과 르하빔과 납두힘과

  14. 바드루심과 가슬루힘과 갑도림을 낳았더라 (가슬루힘에게서 블레셋이 나왔더라)

  15. 가나안은 장자 시돈과 헷을 낳고

  16. 또 여부스 족속과 아모리 족속과 기르가스 족속과

  17. 히위 족속과 알가 족속과 신 족속과

  18. 아르왓 족속과 스말 족속과 하맛 족속을 낳았더니 이 후로 가나안 자손의 족속이 흩어져 나아갔더라

  19. 가나안의 경계는 시돈에서부터 그랄을 지나 가사까지와 소돔과 고모라와 아드마와 스보임을 지나 라사까지였더라

  20. 이들은 함의 자손이라 각기 족속과 언어와 지방과 나라대로였더라

  21. 셈은 에벨 온 자손의 조상이요 야벳의 형이라 그에게도 자녀가 출생하였으니

  22. 셈의 아들은 엘람과 앗수르와 아르박삿과 룻과 아람이요

  23. 아람의 아들은 우스와 훌과 게델과 마스며

  24. 아르박삿은 셀라를 낳고 셀라는 에벨을 낳았으며

  25. 에벨은 두 아들을 낳고 하나의 이름을 벨렉이라 하였으니 그 때에 세상이 나뉘었음이요 벨렉의 아우의 이름은 욕단이며

  26. 욕단은 알모닷과 셀렙과 하살마웻(하살마웨ㅅ)과 예라와

  27. 하도람과 우살과 디글라와

  28. 오발과 아비마엘과 스바와

  29. 오빌과 하윌라와 요밥을 낳았으니 이들은 다 욕단의 아들이며

  30. 그들이 거주하는 곳은 메사에서부터 스발로 가는 길의 동쪽 산이었더라

  31. 이들은 셈의 자손이니 그 족속과 언어와 지방과 나라대로였더라

  32. 이들은 그 백성들의 족보에 따르면 노아 자손의 족속들이요 홍수 후에 이들에게서 그 땅의 백성들이 나뉘었더라



새벽 묵상


우화의 아버지라고 불리 우는 "이솝"의 어렸을 때 일입니다. 학교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데 선생님이 그에게 심부름을 시켰습니다. "너 옆에 있는 공중 목욕탕에 가서 사람들이 얼마나 있는가를 보고 오너라." 이 말을 듣고 이솝은 목욕탕으로 갔습니다. 그리고 돌아와서 하는 말이 "사람은 한 사람 밖에 없었습니다."라고 대답을 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선생님은 마음놓고 애들을 데리고 목욕탕으로 갔는데 웬걸, 얼마나 사람이 많은지 발 디딜 틈이 없었습니다.



기가 막힌 선생님이 이솝을 보고 말했습니다. "야, 이 녀석아 한사람밖에 없다더니 이게 어떻게 된 일이냐? 도대체 뭘 보고 한사람 밖에 없다고 한거냐?" 이솝은 대답을 합니다. "목욕탕을 제가 들어가는데요. 목욕탕 입구에 큰 돌이 하나 있어서 사람마다 걸려 넘어질 뻔하면서도 아무도 치우지를 않았습니다. 그런데 한 사람만이 조용히 그것을 옆으로 치웠습니다. 아, 그러니 사람 같은 사람은 한 사람 밖에 없는 것 아닙니까?" 그렇게 되묻더랍니다.



우리는 종종 사람들을 평가할 때, "아 그 사람 참 인간미가 있어 좋다. "그런 말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그 사람 참 인간 같지 않다" 그런 말을 할 때가 많습니다.



그럼 인간답다는 말의 의미가 뭡니까? 사람답다는 정의가 뭡니까?



보통 인간은 세가지의 내가 있다고들 말합니다.  



첫째는 “내가 생각하는 내”가 있습니다. 나는 이런 사람이라고 스스로 평가하는 내가 있습니다. 



두번째는 “다른 사람이 평가하는 내”가 있습니다. 같이 이야기를 나누다가, 자리를 먼저 떠났을 때 남은 친구들이 나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가 있습니다. 죽은 다음에 내 장례식장에 와서 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내가 있습니다. 그런데 내가 생각하는 나와 다른 사람들이 보는 나는 전혀 다를 수가 있습니다. 가끔 그런 분들 봅니다. 자기 사진을 보고서, 혹은 자기가 나온 비디오를 보고서 “어머, 저게 나야…” 그런 말을 합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내가 생각하는 나와 다른 사람이 보는 나는 같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세번째는 “하나님이 평가하는 내”가 있습니다. 



이 세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가장 정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우리를 지으신 하나님의 판단입니다. 참된 나는 하나님께서 나를 어떻게 평가하실까?라는 데서부터 시작하는 겁니다. 



오늘 본문에 보면 셈과 함과 야벳의 족보를 소개하면서 많은 이름들을 소개해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이름들을 읽어 가다가 한 사람에게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본문 8절을 보십시오. “구스가 또 니므롯을 낳았으니 그는 세상에 처음 용사라”고 했습니다. 



‘니므롯’이라고 하는 사람이 등장을 합니다. 그는 용사라고 했습니다. 그가 얼마나 유명했는가는 9절에 나타납니다. “그가 여호와 앞에서 용감한 사냥꾼이 되었으므로 속담에 이르기를 아무는 여호와 앞에 니므롯같이 용감한 사냥꾼이로다 하더라”고 했습니다. 



속담에 이를정도로 ‘니므롯’을 모르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니므롯’은 도대체 어떤 사람이었느냐? 



사실 ‘니므롯’이라는 이름의 뜻이 “반역, 우리가 대적할 것이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요즘 말로 말하면 “나는 반항아다” 그런 말입니다. 



그럼 왜 니므롯이 이런 이름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것은 노아가 함과 그 아들을 향해서 창세기 9:25에 그랬습니다. “이에 이르되 가나안은 저주를 받아 그의 형제의 종들의 종이 되기를 원하노라” 그러니까 이 예언적인 저주에 거부감이 작용을 한 겁니다. “뭐야, 나보고 형제들의 종이 되라고, 난 그런 것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 두고 봐라, 난 절대로 그렇게 살지 않는다. 하나님이 날 그렇게 만든다고? 그러기 전에 내가 하나님을 배반하겠다. 반란을 일으키겠다. 그래서 강력한 나라를 만들어 온 세상을 호령하겠다” 이러한 의도가 ‘니므롯’이란 이름 속에 깔려 있는 겁니다.



그래서 그가 한 일이 뭐냐하면 나라를 세웠습니다. 그 나라의 이름이 뭐냐하면, 10절입니다. “그의 나라는 시날 땅의 바벨과 에렉과 악갓과 갈레에서 시작되었으며” 이 말씀에서 눈에 들어오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벨”입니다. 즉 바벨탑을 쌓은 민족이 되었고, 바벨론의 창시자가 되었습니다.  



역사학자들이 평가하는 바벨론의 특징이 세가지 입니다.



첫째는 우상숭배와 점술이 유행했습니다. 모든 점술의 기원, 점에 관한 책을 보시면 뿌리가  있는 책은 전부다 바벨론을 기원으로 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을 고의로 대적한 자들이기 때문에 하나님 대신에 초월적인 힘을 얻기 위하여 각종 우상숭배와 점술에 몰두했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는 폭력이 난무하고 무력을 숭배 했습니다. 신 같은 절대왕권을 주장하면서 백성들을 노예화 했습니다. 그러다보니까 잔인하고, 인간의 생명을 짐승 다루듯이 무자비했습니다. 그래서 바벨론의 형벌 중의 하나는 사람의 가죽을 산채로 벗겨 버리는 겁니다. 사냥꾼 같은 거지요. 



셋째는 음란의 극치를 달립니다. 바벨론의 모든 제사의식이 음란했습니다. 



그러므로 바벨론은 한마디로 말해서 하나님의 뜻과 질서를 일부러 깨기로 작정한 나라가 바벨론입니다. 그래서 성경에서는 바벨론 왕국을 사탄의 왕국과 비교해서 설명을 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을 대적하고 성도들을 핍박하는 나라의 상징적 존재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음녀  바벨론아” 그런 말이 구약에서 무수하게 나오고 신약에서도 계시록 끝에서 뭐라고 합니까? “큰 성 음녀 바벨론이 무너졌도다”고 하면서, 사탄 왕국의 멸망을 그렇게 묘사하고 있는 겁니다.



오늘 본문에서 그럼 왜 이 ‘니므롯’이라는 사람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느냐 하면, 현대 인간들이 추구하는 모델이기 때문입니다. 현대인들이 겉으로 볼 때는 ‘니므롯’만큼 잔인하거나 하나님께 반항적이지는 않지만, 현대인들의 사고방식이나 추구하는 방식은 같다고 하는 겁니다. 



여러분! 세상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따라가면 안됩니다. 성경이 말씀하시는 인간상. 내 위에는 나를 만드신 하나님이 계시고, 하나님은 죄인된 우리의 모습 이대로를 사랑하시고, 오직 믿음으로만 구원받는다는 이 겸손한 고백이 있을 때, 구원받고, 참된 기쁨이 있는 겁니다.  


Comentá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