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예배 2023.05.30| 사무엘하 24장 1-14절 | 구진모 목사
사무엘하 24장 1-14절
여호와께서 다시 이스라엘을 향하여 진노하사 그들을 치시려고 다윗을 격동시키사 가서 이스라엘과 유다의 인구를 조사하라 하신지라
이에 왕이 그 곁에 있는 군사령관 요압에게 이르되 너는 이스라엘 모든 지파 가운데로 다니며 이제 단에서부터 브엘세바까지 인구를 조사하여 백성의 수를 내게 보고하라 하니
요압이 왕께 아뢰되 이 백성이 얼마든지 왕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백 배나 더하게 하사 내 주 왕의 눈으로 보게 하시기를 원하나이다 그런데 내 주 왕은 어찌하여 이런 일을 기뻐하시나이까 하되
왕의 명령이 요압과 군대 사령관들을 재촉한지라 요압과 사령관들이 이스라엘 인구를 조사하려고 왕 앞에서 물러나
요단을 건너 갓 골짜기 가운데 성읍 아로엘 오른쪽 곧 야셀 맞은쪽에 이르러 장막을 치고
길르앗에 이르고 닷딤홋시 땅에 이르고 또 다냐안에 이르러서는 시돈으로 돌아
두로 견고한 성에 이르고 히위 사람과 가나안 사람의 모든 성읍에 이르고 유다 남쪽으로 나와 브엘세바에 이르니라
그들 무리가 국내를 두루 돌아 아홉 달 스무 날 만에 예루살렘에 이르러
요압이 백성의 수를 왕께 보고하니 곧 이스라엘에서 칼을 빼는 담대한 자가 팔십만 명이요 유다 사람이 오십만 명이었더라
다윗이 백성을 조사한 후에 그의 마음에 자책하고 다윗이 여호와께 아뢰되 내가 이 일을 행함으로 큰 죄를 범하였나이다 여호와여 이제 간구하옵나니 종의 죄를 사하여 주옵소서 내가 심히 미련하게 행하였나이다 하니라
다윗이 아침에 일어날 때에 여호와의 말씀이 다윗의 선견자 된 선지자 갓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가서 다윗에게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기를 내가 네게 세 가지를 보이노니 너를 위하여 너는 그 중에서 하나를 택하라 내가 그것을 네게 행하리라 하셨다 하라 하시니
갓이 다윗에게 이르러 아뢰어 이르되 왕의 땅에 칠 년 기근이 있을 것이니이까 혹은 왕이 왕의 원수에게 쫓겨 석 달 동안 그들 앞에서 도망하실 것이니이까 혹은 왕의 땅에 사흘 동안 전염병이 있을 것이니이까 왕은 생각하여 보고 나를 보내신 이에게 무엇을 대답하게 하소서 하는지라
다윗이 갓에게 이르되 내가 고통 중에 있도다 청하건대 여호와께서는 긍휼이 크시니 우리가 여호와의 손에 빠지고 내가 사람의 손에 빠지지 아니하기를 원하노라 하는지라
새벽 묵상
무엇을 의지하는가?
오늘 본문의 사건은 다윗이 자신의 통치 말기에 전국적으로 인구를 조사했던 한 사건에 대하여 말씀을 전해 주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 2절에 보면 다윗이 군대장관 요압에게 "이스라엘 모든 지파 가운데로 다니며 단에서부터 브엘세바까지 인구를 조사하여 그 백성의 수를 내게 보고하라”고 명령을 했습니다.
단은 이스라엘의 최 북단 마을, 브엘세바는 이스라엘 최 남단의 마을입니다. 그러므로 이 말은 이스라엘 전국토를 일컫는 말입니다.
다윗이 이렇게 인구를 조사하게 한 근본적인 목적이 어디에 있습니까?
나라의 국방력을 확인한 겁니다. 인구조사 결과를 보면 알겠지만 조사한 인구라는 것이 전부 다 자세하게 기록된 것이 아니라 오직 칼을 빼서 전쟁을 할 수 있는 남자들의 숫자만 기록해 주었습니다. 전쟁을 벌였을 때 얼마나 많은 군사를 동원할 수 있는가를 확인했다는 겁니다. 물론 이런 일들은 한 나라를 책임지고 있는 왕으로서 당연히 할 수 있는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경우는 그 사정이 달랐습니다. 이스라엘의 전쟁은 그 승패가 이런 군사력에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다윗이 젊었을 때 골리앗 장수와 싸우면서 자신을 비웃는 골리앗을 보고 뭐라고 하였습니까?
사무엘상 17:47을 보면 “또 여호와의 구원하심이 칼과 창에 있지 아니함을 이 무리에게 알게 하리라 전쟁은 여호와께 속한 것인즉 그가 너희를 우리 손에 넘기시리라" 그랬습니다.
힘에 있어서는 비교가 되지 않는 상황이지만 하나님의 백성은 그런 육신의 힘을 의지해서 싸우는 것이 아니라 여호와 하나님을 의지해서 싸우는 것임을 말해주는 겁니다. 하나님을 의지하는 절대적인 믿음이 있느냐 그것이 승패를 좌우하는 겁니다.
하나님께서 지금까지 다윗을 지키시고 다윗의 나라를 강건케 하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바로 그런 하나님을 향한 절대적인 믿음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다윗이 이렇게 하나님의 도움으로 왕이 되고, 통치 말년이 되다 보니, 나라도 견고하게 섰고, 어디 내놔도 뒤쳐지지 않고, 누구와 싸워도 지지 않을 그런 규모를 가지고 나니까, 이제 생각이 바뀐 겁니다. 세상을 이기려면 하나님의 도우심만 가지고는 안되고 칼과 창이 있어야 된다는 겁니다. 다윗이 군사력을 점검한다는 것 자체가 바로 다윗의 생각이 바뀌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겁니다. 불신의 표시입니다.
여러분, 그런데 다윗의 이런 태도 변화는 오늘날 우리가 겪고 있는 심리상태와 비슷합니다. 우리가 한 없이 연약해지고 힘들어질 때는 절대적으로 하나님을 의지합니다. 그그리고 그렇게 하나님을 의지하다 보면 정말로 삶 속에 어떤 역사가 나타나고 문제의 해결함도 받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은혜로 삶이 어느 정도 견고하게 서 졌다 싶으면 점점 우리 마음속에 이런 생각들이 밀려 옵니다. 세상을 살려면 하나님의 은혜만 가지고는 안되지. 세상을 지혜롭게 살려면 이것도 있어야 되고, 저것도 있어야 되고...계산을 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그만 주객이 전도되어서 하나님의 은혜는 간구하지 않고 세상의 필요한 것들을 더 챙기게 되고 거기에 빠져서 살아가게 되는 겁니다.
마치 다윗이 더 이상 기도하지 않고, 군사의 수를 계수하면서 전투력을 챙기는 것과 마찬가집니다.
그러면 나중에 어떻게 됩니까? 심령에 만족이 없어요. 가져도 충족되지 않습니다. 기쁨이 사라집니다. 감사도 없어집니다. 그러다가 세상의 일들도 다시 꼬이게 되는 겁니다. 그러면 또, 그 때서야 하나님, 좀 도와 달라고 부르짖는 겁니다.
우리가 그렇게 어리석게 살 때가 많이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절대적으로 의지하며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그것을 원하십니다. 특별히 하나님께서 은혜를 베푸시고, 삶의 길들을 열어주실 때 더욱 더 그렇게 살려고 애써야 합니다.
어떤 사람은 믿음으로 잘 살아가다가 눈을 돌려서 안일하게 믿음생활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어 이렇게도 신앙 생활 하는구나” “어? 이 정도 해도 되는구나?” 그런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표준은 그런 사람들이 아닙니다. 내 생애가 다하기 까지 주님께 붙들려 주의 도우심으로 살아가기를 바랍니다.
요압이 다윗의 명령을 들은 후에 다윗에게 충언을 하게 되는데 그 내용을 보면 본문 3절에 "이 백성은 얼마든지 왕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백 배나 더하게 하사 내 주 왕의 눈으로 보게 하시기를 원하나이다 그런데 내 주 왕은 어찌하여 이런 일을 기뻐하시나이까" 했습니다.
그러나 다윗은 요압의 이런 충언에도 불구하고 다윗은 인구조사를 하고자 하는 결심을 포기하지 않고 오히려 재촉합니다. 요압과 장관들은 이런 다윗의 재촉을 받고 어쩔 수 없이 인구 조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인구 조사를 시작한 지 9개월 20일 만에 조사를 끝내게 되었습니다. 인구조사 결과 칼을 들고 전쟁을 할 수 있는 담대한 사람이 이스라엘 11개 지파에서 80만 명이었고, 유다지파에서 50만 명, 합계 130만 명이라는 엄청난 결과가 나왔습니다. 대단한 군사력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다윗이 세상에서 가진 자기 자신의 힘을 계수 해 보고 나서 느낀 것이 무엇입니까? 만족입니까? 감사입니까? 아닙니다. 10절을 보면 “그 마음에 자책하고” 했습니다. 양심의 가책을 느꼈다는 겁니다. 그리고는 “내가 이 일을 행함으로 큰 죄를 범하였나이다” 고백했습니다.
이제껏 이렇게 나라가 강건하게 된 것이 하나님의 은혜인데 그것을 잊어버리고 자신의 힘을 계수하며 자신을 과시하며 의지하려고 하는 자신의 모습을 회개했습니다.
사울과 다름이 없고, 애굽의 왕들과 다름이 없고, 이방의 사람들과 조금도 다름이 없습니다. 하나님의 그 은혜를 잊어버리고 하나님앞에서 무례하게 행한 겁니다. 그래서 다윗 자신도 자신이 미련하게 행하였다고 고백했습니다.
요즘은 자기 PR시대라고 합니다. 그러나 자신의 힘을 드러내고 자랑하는 것 똑똑한 것은 아닙니다. 미련한 행위라고 했습니다.
여러분, 우리는 살아갈 때 항상 내 자신의 부족을 깨닫고 주님 앞에 엎드릴 수 있는 사람이 되기 바랍니다. 그런 사람이 지혜로운 사람이고, 복이 있는 사람인줄 믿으시기 바랍니다.
시127:1 “여호와께서 집을 세우지 아니하시면 세우는 자의 수고가 헛되며 여호와께서 성을 지키지 아니하시면 파숫군의 경성함이 허사로다” 는 말씀을 꼭 기억하기를 바랍니다.
다윗이 자신의 죄를 깨닫고 난 뒤에 하나님께서 선지자 갓을 통하여 말씀을 주셨습니다. 징계의 말씀을 주신 겁니다. 갓이 다윗을 찾아와서 말씀을 전하기를 이제 왕이 범죄 하였으니 하나님께서 내리실 세 가지 징계 중에 하나를 스스로 선택하라고 했습니다. 그러면 하나님께서 그것을 행하시겠다는 겁니다.
1) 칠년 동안 이스라엘에 기근이 드는 징계 2) 석달 동안 왕이 왕의 대적에게 쫓겨 도망하게 되는 징계 3) 온 땅에 삼일동안 온역을 내리는 징계
이 세가지 징계가 다 만만치 않은 징계들입니다. 그런데 여러분 같으면 어떤 징계를 택하겠습니까? 다윗은 세 번째 징계를 택했습니다. 내일 그 이유를 생각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