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새벽에 주시는 이슬같은 은혜

새벽예배 2022.11.11 | 창세기 46장 1-7절 | 구진모 목사



창세기 46장 1-7절


  1. 이스라엘이 모든 소유를 이끌고 떠나 브엘세바에 이르러 그의 아버지 이삭의 하나님께 희생제사를 드리니

  2. 그 밤에 하나님이 이상 중에 이스라엘에게 나타나 이르시되 야곱아 야곱아 하시는지라 야곱이 이르되 내가 여기 있나이다 하매

  3. 하나님이 이르시되 나는 하나님이라 네 아버지의 하나님이니 애굽으로 내려가기를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거기서 너로 큰 민족을 이루게 하리라

  4. 내가 너와 함께 애굽으로 내려가겠고 반드시 너를 인도하여 다시 올라올 것이며 요셉이 그의 손으로 네 눈을 감기리라 하셨더라

  5. 야곱이 브엘세바에서 떠날새 이스라엘의 아들들이 바로가 그를 태우려고 보낸 수레에 자기들의 아버지 야곱과 자기들의 처자들을 태우고

  6. 그들의 가축과 가나안 땅에서 얻은 재물을 이끌었으며 야곱과 그의 자손들이 다함께 애굽으로 갔더라

  7. 이와 같이 야곱이 그 아들들과 손자들과 딸들과 손녀들 곧 그의 모든 자손을 데리고 애굽으로 갔더라



새벽 묵상


애굽의 총리가 된 요셉은 그 형들을 용서했습니다. 그러면서 요셉은 자기를 판 것은 하나님이 하신 것이므로 너무 염려하지 말고, 이 기근이 5년 더 지속될 것이니 빨리 아버님을 모시고 오라고 형들을 보내게 됩니다. 요셉의 형제들이 아버지를 모시고 애굽으로 가게 되는데 야곱은 너무 좋아서 마음이 들떠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130년 한 평생을 살던 고향을 떠나는 것이 그의 마음을 무겁게 하였습니다.



야곱은 이런 마음을 가슴속에 묻은 채 고향을 떠나 브엘세바라는 곳에 이르렀을 때 하나님께 묵묵히 제사를 드렸지만 아마 마음이 무척 복잡했을 겁니다(1절). 그날 밤에 하나님께서 나타나셔서 그가 가지고 있던 궁금함을 다 풀어주시는 네 가지를 말씀하십니다(3-4절).



첫 번째는 애굽에 내려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가라고 말씀하십니다(3절). 여러분, 우리가 살면서 이런 궁금함이 있을 때 이렇게만 답해주신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두 번째는 네가 가면 너는 틀림없이 큰 민족을 이루어서 다시 돌아올 것이 라는 것과(3절), 세 번째는 내가 너와 함께 하겠다 즉 너와 함께 애굽에 갔다가 또 다시 너를 이끌고 고향으로 돌아오겠다는 겁니다(4절). 



마지막으로는 더 귀한 말씀을 하십니다. 여러분, 인생의 마지막에 대해서 어떻게 기도하십니까? 지금은 평안하고 모든 것이 다 좋지만 혹 내가 병들어서 어려운 일이 있으면 어떡하나? 돈, 건강, 인생이 모두 한 순간에 없어질 수 있는 것인데 마지막에 추한 모습이 되면 어떻게할까? 아무리 믿음 좋은 사람일지라도 누구에게나 이런 두려움이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야곱에게 이 부분 대해서 애굽 총리가 된 요셉이 야곱의 눈을 감기게 해 줄 것이고 그의 말년을 하나님께서 평안하게 인도해줄 것이라고 분명하게 말씀해 주시는 겁니다(4절).



그리고 46장 뒤로가서 28-30절에 보면 이렇게 하나님의 약속을 받고 가벼운 마음으로 애굽으로 내려가서 고센이라는 땅에 도착하게 됩니다. 그 땅에 도착하니 꿈에도 그리던 아들 요셉이 아버지를 맞이하고 있었는데 그 아들을 본 야곱은 감격이 북받쳐 “너를 만났으니 나는 이제 죽어도 한이 없다” 라고 말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얼마나 감격스런 장면입니까? 이 날은 아마 야곱의 147년 생애에 가장 최고의 날이었을 겁니다.  인생의 마지막에 이런 일이 우리에게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여러분, 하나님의 사람 즉 하나님께서 살아 계시다는 것을 믿는 사람에게는 이런 일이 반드시 있을 줄 믿습니다.  



지금 우리 가운데 여러 가지 극한 어려움을 겪으며 절망 하는 분들 있을 겁니다. 그러나 걱정 하지 마십시오. 여러분이 하나님을 의지하고 하나님과 가까이 하며 살아간다면 하나님께서는 야곱보다도 더 아름다운 날을 허락해 주실 줄 믿습니다. 



우리가 오늘 본문에서 꼭 봐야 할 것은 야곱이 애굽으로 가기 전에 두렵고 답답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제사를 드렸는데 이 제사가 그에게 어떤 의미를 주었는가라는 겁니다.  



우선 제사를 드린 이유는 감사함이 당연히 있었을 겁니다. 죽은 줄 알았던 요셉이 총리가 되어서 살아 있었고, 더욱이 가나안 땅에서 자칫 잘못하면 굶어 죽게 되었는데 요셉 덕분에 애굽에 가서 풍성한 삶을 누리게 되는 감사함이 있었을 겁니다. 또 하나는 간구함도 있었을 겁니다. 생소한 애굽 땅에서의 생활을 지켜 주시고, 도와 달라는 기도 제목도 있었을 겁니다.



그리고 과연 우리가 지금 애굽에 가도 되는지 여기에 대한 궁금함이 있었을 겁니다. 그렇습니다. 우리가 낯선 곳으로 이사를 하거나 새로운 일을 하게 될 때 상당한 두려움이 있습니다. 



특별히 야곱에게는 애굽으로 내려간다는데에 대해서 두려움이 있었던 것은, 기근으로 할아버지 아브라함과 아버지 이삭에 대한 경험들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아브라함의 경우는 하나님께 묻지 않고 애굽으로 갔습니다. 거기서 그는 얼마나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까? (창12:10-20)



물론 아브라함이 하나님께 묻지는 않았지만 하나님께서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혼날 줄 뻔히 알고도 아무런 경고도 하시지 않으셨습니다. 그래서 아브라함은 자기 생애에서 가장 참담한 상황까지 가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똑같은 상황이 이삭에게 또 있었습니다. 이삭도 하나님께 묻지 않고 출발했는데 그랄이라는 지방에 머물러 있었을 때 하나님께서는 이삭에게 나타나셔서 '내려가지 말고 여기 있어라 그리하면 내가 너에게 복을 주겠다' 고 자상하게 말씀해 주셨습니다(창26:1-2). 그래서 이삭은 하나님의 약속대로 그랄에서 편안하게 지냈습니다(창26:12).



여기서 우리가 잠깐 돌이켜 보면 똑같은 경우인데도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는 어려움을 겪게 하시고, 이삭에게는 미리 말씀해 주셔서 편안하게 지낼 수 있게 하셨던겁니다. 그런데 이것은 하나님께서 불공평한 것이 아니고 우리 각 사람을 가장 잘 아시기 때문에 우리에게 가장 좋은 곳으로 인도해 주신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는 겁니다. 



아브라함의 경우는 하나님께서는 그의 믿음을 믿으셨고 기대도 하셨을 겁니다. 그러면서 아브라함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한 계획도 준비 하셨던겁니다. 그래서 실패한 아브라함을 하나님께서는 그냥 두시지 않았습니다. 바로에게 아내를 빼앗기려는 순간 나타나셔서 지켜주셨고, 하나님을 제대로 아는 성숙한 사람으로 이끌어 주신 겁니다. 



아브라함은 그 때 까지는 그저 하나님을 따라만 갔었고 제대로 잘 알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그런 경험을 하고난 후에 하나님이 정말 대단하신 분이시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 때부터 아브라함의 인생이 바뀌어지게 되는데, 자신감도 담대함도 별로 없던 그가 이제는 정말 담대해졌습니다. 그래서 좋은 땅을 조카 롯에게 양보할 수 있었고(창13:12) 롯이 전쟁에서 포로가 되니까 부하들을 이끌고 가서 롯을 구출해 오기도 했습니다(창14:16).



여러분, 그렇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인도하시는 그 길은 정해진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늘 하나님 앞에 기도하도록 하십니다. '물으라' 는 겁니다. 묻고 또 묻고 아무리 확실한 일이라도 계속해서 물으라라는 겁니다. 일마다 경우마다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가를 물어야 합니다. 꼭 꼬집어서 정답을 주시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 아니라 묻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는 겁니다. 



우리는 100% 확신한다 할지라도 하나님께 다시 묻는 겁니다. '내가 이 길을 가도 되겠습니까? 이 말을 해도 되겠습니까?' 늘 묻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야곱을 그의 아버지 이삭, 할아버지 아브라함의 믿음과 비교해보면 오래 생각하지 않아도, 믿음이 제일 부족한 사람은 야곱이라고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가장 믿음이 없는 야곱은 애굽으로 가기 전에 하나님께 제사를 지내는 훌륭한 면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어떻게 야곱이 이렇게 믿음이 성숙하게 되었을까요? 그 이유는 고난과 시련입니다. 그에게 많은 고난과 시련이 있었기에 야곱은 성숙해질 수 있었던 겁니다. 여러분의 인생에서 고난과 시련이 많았다고 불평하실 것 하나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고난과 시련을 많이 받기만 하면 성숙해지는 겁니까? 아닙니다. 모든 사람이 다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시련 중에서도 하나님을 얼마나 붙들고 바라보는가? 여기에 따라서 성숙하는 것이지, 그저 시련과 고통만 당한다고 사람이 성숙해 지는 것은 아닙니다. 아무리 짧은 시련과 고통이라도 하나님을 바라보면서 하나님과 함께 하면 그 사람은 점점 성숙하게 됩니다. 



오늘 본문에서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어떤 경우에 하나님께서 응답해 주셨는가라는 겁니다. 그것은 제사 입니다. 



본문을 보시면 야곱이 하나님께 일일이 묻거나 간구하지 않은 채 묵묵히 제사를 드렸는데도 하나님께서는 야곱의 마음과 필요를 다 아셨던 겁니다. 그래서 야곱의 필요한 모든 것을 다 허락하신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이것입니다. 야곱이 단지 희생제사만 드렸을 뿐인데 하나님께서는 그를 가장 좋은 길로 인도해 주셨습니다. 



여러분, 답답하고 궁금한 것이 있습니까? 혹 두려움이 있습니까? 여러분들의 지식이나 판단력에 의존하지 말고 하나님께 맡기십시오. 다만 여러분은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는 그 길을 내가 가고 있는가? 이것만 확인하십시오. 그리고 특별한 기도 제목이 없어도 그저 진실하게 하나님께 예배 드리십시오. 여러분들이 일일이 내놓지 않아도 하나님께서는 다 아시므로 여러분 가실 길을 인도해 주실 겁니다. 하나님께서는 여러분이 하나님께서 나와 함께 하시기를 진정으로 구하는 그 순간부터 함께 해 주십니다. 하나님께서 함께 해 주시는데 누가 여러분들을 어렵게 할 수 있겠습니까?



하나님께서는 이 천지를 창조하셨고 지금도 운행하시고 계십니다. 그 분이 우리의 하나님이신 것을 믿으시기 바랍니다. 




bottom of page